
러시아는 그들의 침략 정책이 실패로 돌아간 것이 만민공동회 때문이었고, 이 배후에는 미국시민권을 가진 서재필이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여 서재… 독립협회가 주최한 민중대회로서 1898년 3월 10일 종로에서 약 1만 명의 서울 시민이 참여하여 개최됐는데, 이를 만민공동회라 한다. 구한말에 2년 반에 … 독립신문은 1884년 갑신정변 때 미국으로 망명하였던 서재필 박사가 1895년 돌아와 활동하는 가운데 창간된 신문이다. 1896년 8월 15일 발행되었으며 모두 … 독립협회 운동은 조선 최초의 근대적이며 민주주의적 민중정치 운동이며 자주적 민족독립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 운동을 주도한 서재필은 10년이 넘… 1898년 4월 제36회 협성회에서는 ‘음력을 버리고 양력을 씀이 가함’이란 주제로 토론을 하는데, 이 토론을 거의 마쳐 갈 무렵 협성회에서는 단발에 관… 협성회는 1896년 11월 30일에 출범하여 1898년 4월 초까지 일 년 반 동안에 무려 42회에 걸쳐 토론을 전개하였는데, 그 토론의 주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11일은 아펜젤러 선교사(H. G. Appenzeller, 1885~1902)가 1902년 6월 11일 순직한 지 꼭 120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글은 존스 선교사(G. H. Jones, 조원시)의 아펜젤러… 협성회는 서재필이 배재에서 강의를 맡으면서 학생들에게 외국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소개함으로써 태동하기 시작하여, 1896년 11월 30일 조직되었다. 의… 아펜젤러의 교육 활동은 조선의 젊은이들에게 기독교를 전함과 동시에 서양의 민주주의 정치와 발전된 근대식 문화, 자유주의 사상을 자연스럽게 가… ‘배재(培材)’는 곧 ‘배양영재(培養英材)’의 준말이다. 즉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육한다는 의미로, 고종은 친히 ‘배재학당’이라는 교명을… 아펜젤러가 조선에서 처음으로 신교육을 실시할 때 어떤 학제를 택할 것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한문학(漢文學)을 10년 혹은 15년씩 이미… 배재학당이 처음 세워지고 3년째 되던 해, 아직 학당 규칙이 발표되기도 전(前)인 1889년 당시 활동하던 교사진과 학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당시의 … 배재학당 서관은 크게 늘어난 신입생 수를 감당하기 위해 1923년 3월에 배재학당 본당과 옛 삼문출판사 건물을 사이에 두고 배재학당 동관과 마주 보는 … 이 건물은 일본인 건축가 요시자와 토모타로의 설계로 1887년에 건립되었다. 단층으로 이뤄진 건물 안에는 강당, 교실, 사무실, 도서실이 배치되었고, … 한편 기껏해야 50명 내외에 머물렀던 배재학당의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했을 때는 1895년 이후의 일이었다. 당시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던 육영공원(育英… 이 무렵 배재학당의 학생 수가 차츰 늘어나자 아펜젤러는 벽돌로 1887년에 학교 건물을 신축하였는데, 이것이 배재학당 본당 건물이다. 대부분의 자료… 고종께서는 이 소식을 들으시고 호의를 가지시며 친히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는 교명(校名)을 지으셔서 하사(下賜)하는 동시에 그때의 명필(名筆)인 … 1885년 8월 3일. 이날은 27세의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최초의 신식학교로 기록된 배재학당의 문을 연 날이다. 그가 조선에 도착한 것은 그 해 6월 20일… 조선에 있는 선교사들도 각 교파의 연합대학을 세운다는 뜻에는 이의가 없었으나, 대학을 세울 처소(處所)에 대해서는 결정하기가 곤란했다. 장로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