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을 선교적 시각으로 보기
성경: 마태복음 28장 18~20절 제목: ‘예수님의 대위임령’

이번엔 마태복음 28장에 나타난 소위 ‘예수님의 대위임령’에 대한 말씀을 함께 묵상하고자 한다. 본문을 통해 앞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묵상해 왔지만, 이 시간엔 또 다른 면에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한 사람의 마지막 유언은 대단히 중요하다. 하물며 하나님의 아들이시고 우리의 구원자이신 그리스도 주 예수의 마지막 유언은 이 세상에 남아 있는 모든 성도에게 대단히 중요하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태복음서의 결론으로 예수님이 하신 마지막 유언인 대위임령은 주님을 사모하고 따르는 모든 자에게, 특히 선교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던져 주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첫째로는 선교의 근거에 대해서이다. 예수님의 대위임령은 두 개의 커다란 기둥으로 받쳐주고 있다. 하나의 기둥은 18절을 시작하면서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가’ 주님께 주어졌다는 전제이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가 하나님으로부터 주님에게 주어졌다는 말인데, 이렇게 권세 있는 말씀에 근거하여 우리로 하여금 선교하도록 명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또 다른 기둥은 20절 끝에서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는 약속이다. 그러니까 주님의 이 임마누엘의 약속은 또한 우리의 선교 사역과 함께하시겠다는 약속이다. 그러니 이것처럼 우리에게 놀라운 힘과 격려가 되는 말씀이 어디 있겠는가? 세상의 그 어떠한 말보다도 이처럼 최상의 위로와 격려의 말씀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18절과 20절의 이 큰 두 기둥의 말씀은 선교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하나님의 선교는 우리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변할 수도 없거니와 변해서도 안 되는 주님의 권세 있는 최상의 명령인 것이다.

둘째는 선교의 초점에 대해서이다. 주님의 대위임령은 우리에게 분명하게 가르쳐 주시는 것이 있다. 그것은 우리가 선교에 있어서 집중해야 할 초점, 혹은 집중해야 할 목표에 대해서 말씀해 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제자 삼으라’는 명령이다. 대위임령에는 다른 명령도 있다는 것을 이미 살펴보았다. 곧, ‘가라’와 ‘세례 베풀라’와 ‘가르쳐 지키게 하라’ 등이다. 그런데 네 개의 명령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명령이 바로 제자 삼는 것이다. 그러니까 그리스도의 제자 삼는 일이 선교의 목표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너무도 많이 본다. 선교 현장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 가운데서 그리스도의 제자 삼는 일보다 다른 일, 예를 들어 예배당을 건축하는 일, 선교 센터를 짓는 일, 교회를 개척하는 일, 현지인들을 구제하고 봉사하는 일, 학교나 병원이나 농장을 세우는 일, 신학교를 세우는 일, 사람을 만나고 교제하는 일 등 여러 가지 많은 일에 시간과 물질과 정력을 쏟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 물론 이런 일들도 배제해서는 안 되나, 선교의 가장 우선순위와 목표가 그리스도의 제자 삼는 일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또한 교회나 선교단체가 선교사를 파송할 때 많은 선교사를 파송하는 일이 중요하지 않다. 여러 지역에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다. 비록 한 지역에 적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협력할지라도 그곳에서 현지 사람들 가운데 그리스도의 제자를 얼마나 많이 만들어내느냐가 가장 중요한 일이다. 아무리 다른 것들을 많이 할지라도 그리스도의 제자를 삼는 일에 선교의 초점과 목표를 세우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그러니까 하나님의 선교는 구원 사역이고 영적인 사역이므로 다른 어떤 것들을 하는 것으로 선전효과나 과시효과를 내보여서는 안 되고, 선교의 목표에만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선교의 범위에 대해서이다. 본문 19절에서 ‘모든 민족’을 제자 삼으라고 말씀하고 있다. ‘모든 민족’이란 말은 단순히 어떤 국가나 민족이 아닌 아직 복음을 들어보지 못한 ‘미전도종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리적,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는 개념과도 관련이 있지만, 그것은 또한 우리 자신들이 현재 처해있는 가까운 곳에도 그런 종족이 많이 있다. 특히 이 땅에 들어와 있는 이주민들, 즉 다문화, 다언어, 다종족들도 선교의 대상이 된다. 벌써 이 땅에 들어와 있는 이주민들의 수가 260만 명, 아니 300만 명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 계속하여 그 숫자는 증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에는 선교가 서구권에서 비서구권으로 일방통행적이었으나, 이제는 어디에서든지 다방면으로 선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말이다. 특히 비서구권 가운데서 대한민국은 무시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온 세계를 향해 우리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깊은 고민과 성찰이 필요한 때라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미 이 땅에 들어와 있는 이주민들뿐만 아니라, 온 세계를 향하여 우리가 어떻게 선교를 해야 할 지에 대해 깊은 고민과 협력을 해야 할 때라고 본다.

김영휘 목사
▲김영휘 목사
[말씀묵상기도]

예수님의 대위임령을 통해 주시는 선교의 근거와 초점(목표)과 범위(대상)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항상 기억하고 실천하는 역사가 일어나게 하소서.

김영휘 목사/선교사
서울남교회 은퇴목사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운영위원
GMS 명예선교사
청년인턴선교사 지도위원
시니어선교한국 파송 인도네시아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