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감리교 첫 선교사 아펜젤러

헨리 게하르트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는 조선에 온 문명의 개척자로, 세계 감리교회 사상 불후의 이름을 남긴 선교사이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예수의 복음을 전파하는데 온 생애를 바친 그의 열정과 헌신은 감탄과 눈물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조선 반도를 종횡무진으로 다니며 선교활동에 나섰던 그의 행적이야말로 조선에 뿌린 복음의 씨앗이요, 한국 감리교회의 놀랄만한 발전을 가져온 원동력이 되었음을 누구도 부인(否認)하지 못할 것이다1).

배재고등학교에서 평생을 교목(校牧)으로 사역하시다가 은퇴하신 김주환 목사는 아펜젤러의 일생이 한 편의 영화(映畵)로 그려지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필자에게 피력하신 일이 있다. 그의 일생이 영화로 만들어도 좋을 만큼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할만큼 가치 있는 일이고, 역동적이고 흥미진진하기 때문일 것이다.

27살의 어린 나이에 조선에 오셔서, 44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17년간 아펜젤러의 조선에서의 행보(行步)는 조선에 복음을 전하려는 열정과 투쟁의 삶이었다. 그의 선교사역은 바로 성령의 역사였다. 오늘날 한국교회와 사회에 일어난 이 엄청나고도 놀라운 변화와 발전의 결과를 아펜젤러 자신도 상상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복음을 전하는 일에 있어서 그의 열정적이고 역동적인 삶은 오늘날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귀감(龜鑑)이 되기에 충분하다. 그가 배재학당에서 가르치고 배출한 많은 조선의 젊은이는 조선을 개화하고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 자유주의 국가인 대한민국(大韓民國)을 세우는데 대부분 지도자로 앞장서게 되었던 것이다.

헨리 게르하르트 아펜젤러 선교사와 부인 엘라 다지 아펜젤러 선교사의 20대 시절.
▲헨리 게르하르트 아펜젤러 선교사(좌)와 부인 엘라 닷지 아펜젤러 선교사(우)의 젊은 시절 ⓒ내리교회

1. 아펜젤러의 출생

미국 펜실베이니아(Pensilvenia) 주의 목가적인 향취가 한껏 묻어나는 사우더튼(Souderton)은 조그만 농촌 마을로, 비옥한 땅으로 둘렸으며 유서 깊은 코네스토가 강이 유유히 흐르는 곳이었다. 지금으로부터 150여 년 전인 1858년 2월 6일 이곳에서 조선의 첫 감리교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출생한다. 그가 태어난 곳은 조선에서 약 1만km나 떨어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 사우더튼 근처의 베들레헴 턴 파이크라는 곳이다. 장차 조선에 가서 위대한 일을 하라는 하나님의 소명을 받은 한 아이의 울음소리로 조선 감리교회의 역사는 시작된 것이다2).

아펜젤러는 스위스 혈통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펜젤(Appenzell)이라는 이름은 예술과 시와 역사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동시에 개혁교회 및 교육사, 문화사에도 빛나는 이름을 남기고 있다. 아펜젤러의 가문이 미국에 온 것은 1735년인데, 교만한 왕의 횡포와 박해를 피해 독일계 미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펜실베이니아 지방으로 이주한 후, 이곳에 집단적으로 정착했다.

미국 개척자였던 제이콥 아펜젤러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이 중 둘째 아들인 제이콥 III세가 바로 헨리의 할아버지이다. 제이콥 III세는 부모의 농사일을 이어받아 한 농장의 소작인으로 살았지만, 계속해서 농토를 넓혀나가 나중에는 농장을 운영하게 되었다. 그에게는 네 남매가 있었는데, 이 중에 헨리의 아버지인 기드온은 1823년 출생하여 1855년 12월 헨리의 어머니인 마리아 게하르트와 결혼하였다. 이들은 아들을 셋 낳았는데, 그중 둘째가 바로 헨리 게하르트 아펜젤러였다.

헨리 아펜젤러의 집안은 1518년 스위스에서 시작된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전통에 따라 개혁교회의 신앙을 따랐고, 그 성품은 스위스 용병의 전통을 이어받아 용감하고 진취적이었다. 이러한 용맹스러운 기질이 헨리를 당시 누구나 꺼렸던 조선 복음화의 선구자가 되게 하였던 것이다3). <계속>

[미주]
1) 김석영, 『처음 선교사 아펜젤러』, p. 3.
2) 위의 책, p. 6.
3) 위의 책, p. 7.

김낙환 박사(아펜젤러기념사업회 사무총장, 전 기독교대한감리회 교육국 총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