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 교회는 내일(29일) 주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에 따라 정규예배 시 전체 수용인원의 20% 이내로 예배 인원을 제한한다.
앞서 서울시는 24일부터 연말까지 2단계를 유지하며 ‘서울형 정밀방역’을 시행한다고 밝히고 “2단계에서 정규예배‧법회‧미사 시 좌석의 20%로 참석 인원이 제한되는데, 이보다 경각심을 높여 비대면 온라인으로의 전환을 강력하게 권고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연속으로 500명 이상을 넘어,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됐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사흘 연속 500명이 넘는 것은 지난 3월 초에 이어 9개월 만이다.
이에 정부는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어 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여부를 논의하기로 했다. 현재 지역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400.1명으로, 2.5단계 격상 기준인 일평균 400~500명 이상, 혹은 급격한 증가 상황을 충족한다.
만일 2.5단계로 격상될 시 예배는 다시 비대면 예배로 전환해야 하고, 20명 이내로 인원이 제한된다.
![]() |
그러나 성도들은 “공용물품이 교회 등 종교시설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서울시의 편파적이고 차별적인 방역 조치에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한 성도는 “버스, 지하철 손잡이는 다수 사람이 매일 수천 번 만지고, 하루 종일 관공서의 복사기, 자판기, 직장 사무용품 등도 모두 공용물품이지 않나”라며 서울시 조치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이었고, 또 다른 성도는 “도서관이나 서점의 책은 읽고, 백화점과 마트 물건은 만져도 되고 성경책은 무슨 죄인가...지하철, 버스 손잡이부터 항균필름 방역은 문제없나”라고 지적했다.
또 한 성도는 “교회 공용물품이나 사무용품, 돈이나 식품 등이 모두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친다. 서울시 논리대로면 세상의 모든 물건은 만지지 말고 먹지도 말아야 할 것”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