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12월호 《the Korea Mission Field》, ‘Thirty-Three Days Of Country Classes’ by Katherine Wambold, 번역: 리진만(우간다, 인도네시아 선교사)

‘1908년, 33일간 지방에서의 사경회’ 캐터린 왐볼드

우리는 서울에서 새벽 일찍 떠났지만, 110리 거리의 모골(Mo kol)1)에 도착했을 때는 밤 9시가 되었다. 서울에서 재래식 등을 샀지만 다 써 버리고 양초 역시 다 떨어져 길 안내꾼이 길옆에 있는 집에 들어가 횃불을 빌려달라 했고, 관솔2) 한 개를 얻을 수 있었다. 3명의 짐꾼들은 빈 가마를 운반했고 4번째 가마꾼이 앞에서 관솔불을 밝히며 인도했다. 윤 전도부인과 나는 물론 같이 걸었다.

기독 신자들은 우리가 오기를 고대했고, 많은 기독인이 우리를 환영했다, 우리는 기도회와 다음날 성경공부를 준비하느라 좀 늦게 출발했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1910년대 사경회 참석하는 부인들은 몇십 리 밖에서 이부자리와 먹을 음식을 머리에 이고 등에 지고 왔다. ⓒBruce Hunt Family Norman Thorpe Collection

양근읍3) 내에서는 조사4) 이창강이와 그의 아내 그리고 많은 기독인이 우리를 환영하며 기다리고 있었다. 클락(Mr. Clarke)5) 선교사는 짐꾼들을 고용했는데 그들은 성실했다. 그중 뚱뚱한 짐꾼이 다른 짐꾼을 먼저 보내 우리가 가는 것을 알리게 했다.

우리가 곡수(Kok Soo)6)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어두웠고, 많은 기독인이 우리를 서서 기다리며 환영의 말을 건넸다. 부인들이 사경회에 참석하기 위해 무골(Moo Kol)7), 얘족음실(Yai Jok Um Sheel)8), 그리고 산골(San Kol)9)에서 왔다. 한 우아한 여인이 9살 먹은 아들과 아직 돌도 되지 않은 쌍둥이 아기를 데리고 왔다. 그들은 보기보다 우리 수업에 그렇게 방해되지는 않았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시골 부엌. ⓒGCAH Digital Library

기도처소는 활기가 넘쳤다. 실내는 하얀 한지로 되어 있었다. 내 방은 꽤나 뜨거웠는데 그 방 부엌에서 소여물을 끓이기 때문이다. 방바닥은 종이로 바르지 않았으며, 벽도 마찬가지였고 파리들은 떼를 지어 날아다녔다. 식사하고 음료를 먹는 것은 파리 떼 때문에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 어떤 이는 모기장을 가져오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

부인들은 사경회 기간 잘 따라왔다. 우리는 이곳 사경회에서 ‘예수님의 생애’와 마가복음(첫 장 부분), 사도신경, 십계명과 교리 학습을 조금 시켰다. 후반부에서는 질문과 응답 시간을 가졌다.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요?” 등의 한 사람이 한 가지 질문을 하고 답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많은 부인은 오직 일에 치어 살아와 그들의 몸과 마음은 야외에서의 고된 노동으로 무뎌져 있었다. 가장 경이로운 것은 그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열심히 배우려 했다. 5명 이상의 부인이 새롭게 믿기로 작정했다. 윤 전도부인은 불신자들이 예수님을 영접한 것을 보고 매우 기뻐했다. 그녀의 자신이 있는 태도, 간곡한 권고, 설득의 힘은 굉장했다. 그녀는 그곳에 참석한 무지한 여인들이 묻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힘 있게 대답했다.

“나는 판단력이 없습니다.
나는 집이 없어요.
나는 눈이 침침합니다.
나는 과부예요.
나는 마음이 어둡습니다.
나는 아이가 없어요.
나는 읽을 줄 모릅니다.
나는 아들이 없어요.
나는 돈이 없습니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1907년 원주교회 예배 처소에 모인 교인들. ⓒ원주제일교회 110년사 화보집

원주

이곳에서 우리는 내 인생 경험 중 가장 유쾌한 사경회를 경험했다. 우리는 1908년 10월 21일 긴 여행을 했는데, 곡수를 떠나기 전 함께 간 조사는 무서운 고개, 아찔한 고개 등 많은 산을 넘는 긴 여정이니 긴장하라고 엄포를 놨다. 그러나 미국 북부 지역 산과 알프스를 본 나는 그리 놀라지 않았다. 가파른 고갯길에는 귀석이 많아 윤 전도부인은 한번 미끄러져 넘어졌지만, 천만다행으로 다치지는 않았다. 우리는 군인들과 여러 번 만나 지나치기도 했고 일반인들도 만났다. 우리는 새벽 일찍 출발했지만 어둑해졌는데도 도착하지 못했다. 2명의 조사는 우리와 함께 있었고 다른 사람들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부인들은 성경공부를 하기 위해 10리 밖 잘개미(Chal-Kam-ee)10)에서, 40리 떨어진 문막(Mun-mak)11)에서, 역시 40리 떨어진 횡성읍(Wheng Sung Eup)12)에서 참석했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1910년대 문막교회. 이 사진에는 개화기 교회에서 십자기를 달았던 깃대를 볼 수 있다. ⓒGCAH Digital Library

한 자매는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된 짧은 교리를 우리가 그곳에 있는 동안 습득했고, 우리는 마가복음 첫 두 장의 도입 부분을 가르치고 설명했다. 모든 수업 시간에 우리는 새로 발간된 통합찬미가를 함께 불렀다.

부녀자들은 교회에서 숙식하고 공부도 했다. 모든 수업은 아침반, 오후반, 저녁 반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는 모두 읍내의 집들을 방문하며 말씀을 전했다. 부녀자들이 집을 방문하면 원주에서는 특별히 우리가 전도했던 부인들이 사경회에 참석하곤 했다.

기도회 시간에 주님께 축복을 구하고 우리는 둘씩 짝지어 나갔다. 어쨌든 4~5명은 나하고 함께 전도했는데 나는 2명씩 짝을 지어 전도하는 것을 고수했다. 우리는 가는 곳마다 환영을 받았고 그들에게 저녁에 교회로 오라고 초대했다. 가끔 나는 집안 잔치에도 초대를 받았고, 참석하고 나면 초청인은 꼭 사경회에 참석하겠다고 했고 그 약속을 지켰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1910년대 원주 선교 부지. ⓒGCAH Digital Library

외부인이 그들의 구역에 초대받지 않고 들어왔지만, 외국인에게 그렇게 친절을 베풀어 준 것은 얼마나 멋진 일인가? 내가 어디를 가건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나를 돋보이게 하는 말을 해주었다. 그들의 바느질 솜씨로 지은 내가 입은 한복을 특별히 칭찬했다. 어떤 집에서는 모두 둘러앉아 부인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는데, 인근에 있던 남학교 학생들이 몰려 들어와 나는 몸을 숨기고 있다가 곧 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재판소가 있는 곳으로 몸을 피했다. 잠시 후 그 남학생 무리는 한 목소리로 “조선 복식(Cho-sun PokSak), 한복”이라고 비난하며 외치고는 달아났다. 이후 나는 서양 전통 의상뿐만 아니라 머리핀 등을 포기하고 머리 비녀로 머리를 올리고 다녔다.

나와 함께 전도 활동을 하지 않은 2인조의 부녀자들은 집집이 둘씩 짝지어 다니며 복음을 전하고 저녁 성경반에 사람들을 초대하며, 저녁 사경회에 오면 외국 선교사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것은 모두의 희망이기도 했다! “선교사는 우리 한복을 입고 우리말로 얘기해요.” 그들이 본 것은 단지 박제되어 전시된 기린이 아니라 꼴을 먹는 기린(선교사)이었다.

교회는 매일 저녁 부녀자들로 꽉 찼다. 찬미가를 부르고, 성경을 읽고, 기도하고 복음을 전한 후 개인적인 질문으로 사경회를 마치는데, 한국 부인들은 그런 방식으로 이해를 더 잘한다. 많은 참석자가 예수님 영접하기를 작정했고 그들의 이름을 주일 아침 예배 후 봉사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왐볼드 선교사의 ‘33일간의 지방 사경회’ 자료사진
▲1959년 건축된 횡성교회. ⓒ강원도민일보

나는 조사가 그와 같이 일하는 선교사의 표현이나 행동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매우 궁금하다. 나는 웰번(Mr. Welbon) 선교사의 조사와 클락(Mr. Clarke) 선교사의 조사를 통해 그걸 알 수 있다. 이들 조사들은 성경반을 성공적으로 운영한다. 만일 어떤 소년들이나 사람들이 문이나 창문을 통해 교실 안에서 뭐가 진행되는가 보려고 기웃거리면 그 사람들은 곧 조사의 근엄한 목소리로 당장 떠나라는 말을 듣게 되는 것이다. 어떨 때 많은 부녀자가 몰려와 내가 새로 참석한 부인들을 앉게 하려 하면, 조사들은 신속히 새 멍석을 깔아놓는다.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은 동의할 만하다. 나는 이러한 조사들과 함께할 수 있음이 기쁘다.

원주에 도착했을 때 내가 클락 선교사한테 받은 편지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기지 않도록, 선교사 주택을 위해 사놓은 새로운 땅13) 부근에 가지 말라고 하였다. 내가 조심스럽게 그쪽을 봤을 때, 거기는 높지 않은 산등성이가 보였고, 서울의 연못골 1894년에 연못골14)과 비슷했다. 멀지 않은 곳에 아름다운 푸른 산이 보였고, 하여튼 원주는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나는 한 칸 방을 사용했는데 창문이 있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어 감사했다. 아기 울음소리와 당나귀의 합창이 밤새 나를 사색하게 했다.<계속>

[미주]
1) Mo Kol 못골, 서울에서 110리 거리면 양수리 부근으로 추정. 현 지명은 알 수 없음.
2) 예전에는 송진이 많은 소나무 옹이(관솔)에 불을 붙여 촛불이나 등불 대신으로 썼다.
3) 현 양평군의 옛 이름. 양평군(楊平郡)은 ‘양근군(楊根郡)’과 ‘지평군(砥平郡)’을 합쳐서 지은 이름이다.
4) 助事 또는 助師는 선교사공의회 시기 선교사를 도와 함께 일하는 사람(Helper)을 말했고, 독노회 이후에는 목회자로서 조사(助師)라는 호칭을 썼다.
5) 1907~1909년까지 원주 지방은 선교지역 분할 약속에 따라 감리회에서 장로회로 바뀌었는데, 1908년 순회 선교사는 한국명 곽안련인 클락(C. A. Clark) 선교사였고, 1909년 9월부터는 다시 감리회로 변경되었다.
6) 현 양평군 지평면 곡수리. 곡수장로교회가 있음. 양평~곡수는 약 18km, 45리.
7) Moo Kol 물골, 현 양평군 지평면 수곡리(水谷里)로 추정됨.
8) 현 지명 파악이 안 됨.
9) 여주시 대신면 하림리에도 산골이 있으나 여기서는 양평군 양동면 단석리 산골일 가능성이 큼.
10) 현 원주시 흥업면 흥업리 잘개미(자감촌). 한라대학교 앞마을.
11) 현 원주시 문막읍.
12) 현 강원도 횡성읍.
13) 당시 선교지 분할로 원주지역을 맡은 장로교단은 원주선교부 부지로 2만여 평의 시내 중심지 땅을 매입했는데, 현재 원주제일감리교회, 세브란스 병원 등이 있는 원주시 일산동 지역이다.
14) 1894년에 연못골 교회가 개척되었는데, 현 서울 종로구 연지동 연동교회가 있는 곳이다.

※이 글의 옛 지명에 대한 각주는 상지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김은철 교수께서 수고해 주셨음에 감사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