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타 홀 내한 130주년 기념 예배 및 심포지움이 13일 저녁 7~9시 온라인 줌과 유튜브로 열린다.
로제타 홀 기념사업회가 주최하고, 인천기독병원 원목실이 주관하는 이번 포럼은 로제타 홀 선교사(Rosetta S. Hall, 1865~1951)가 제물포항에 첫발을 내딛은 1890년 10월 13일을 기념하여 로제타 홀 선교사와 가족의 사역을 기억하고, 홀 선교사 가족의 박애 정신과 뜻을 기리기 위해 마련됐다.
![]() |
통역을 맡은 김점동(박에스더)을 미국에 유학 보내 한국 최초 의사 자격을 얻게 하고, 1928년 한국인들과 함께 서울 고려대학 의과대학 전신 조선여자의학강습소를 세워 여성 의료인을 양성했다. 또 한국 최초 시각장애인을 위한 맹학교를 평양에 세우고 한글점자교과서를 발행해 특수교육의 초석을 다지는 등 43년간의 한국에서 사역한 후 1933년 미국으로 돌아갔다. 아들 셔우드 홀 선교사(Sherwood Hall, 1893~1991)도 의료 선교사로 조선에 파송돼 폐결핵 퇴치운동에 앞장섰으며, 결핵 치료 자금 마련을 위해 크리스마스실을 만들어 보급했다.
![]() |
2부 심포지움은 안양샘병원 미션원장 박상은 원장과 한상환 원장이 좌장으로 박정희 작가가 ‘로제타 홀의 1890년 여정-뉴욕에서 제물포까지’, 로제타 홀 기념사업회 총무이사 홍순철 교수가 ‘초기 의료선교사의 역할, 딸 에디스의 평양에서의 삶까지’, 국민일보 전정희 논설위원의 ‘로제타 홀 가의 역사기행’에 대해 발제 후 고려대 안암병원 원목실장 이경희 목사의 축도로 마친다.
![]() |
한편, 로제타 홀 기념사업회와 인천기독병원 원목실은 로제타 홀 선교사가 설립한 인천기독병원을 출발해 제물포 항구, 차이나 타운, 자유공원 주변을 걷는 ‘130년 전 로제타 홀 선교사와 함께 걷기’ 프로그램도 10월 10일 진행했다.(문의 christian_hospita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