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발간된 교육부 검정 중학교 교과서 ‘역사 1’ 6종을 살펴보면 이전에 보였던 종교 관련 기술 분량의 불균형은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슬람 관련 기술에는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어 수정이 요청된다. 지난 회에 이어 관련한 내용을 소개한다.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①71쪽 그림 설명에 ‘이슬람 제국은 말과 낙타를 이용한 기동력과 종교적 관용정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어요’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꾸란과 하디스는 비무슬림들은 죽이라고 했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비상출판사: 71쪽의 그림 설명에 ‘이슬람 제국은 말과 낙타를 이용한 기동력과 종교적 관용정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어요’라는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 이슬람에는 종교적 관용정책이 없었다. 꾸란과 하디스는 비무슬림들은 죽이라고 했다(꾸란 9:5, 꾸란 47:4). 이슬람의 창시자 무함마드도 자신의 사위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는다고 두 딸 루까이야, 움 쿨숨을 이혼시켰다.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74쪽에 이슬람이 인도에서 숫자 ‘0’을 받아들여 아라비아 숫자를 만든 것으로 가르치고 있는데, 아라비아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라고 하는 것을 만들지 않았고 사용하지 않았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74쪽에 보면 이슬람이 인도에서 숫자 ‘0’을 받아들여 아라비아 숫자를 만든 것으로 가르치고 있는데, 사실은 창세부터 지금까지 아라비아에서는 지금 우리가 아라비아 숫자라고 하는 것을 만들지 않았고 사용하지도 않았다.

또한 같은 쪽에 ‘이슬람 세계에서는 천문학이 발달하였다’고 가르치고 있는데, 만일 천문학이 이슬람에서 발달하였다면 왜 1년에 11일 정도 빨라지는 월력(Lunar calendar)을 사용하고 있을까? 실제로 이슬람의 달력은 기후와 계절과 전혀 상관없이 해마다 11일씩 빨라져 1월이 겨울일 수도 있고 여름일 수도 있는 달력이다. 우리 조상들도 음력을 사용했으나 11일씩 빨라지는 것을 3년씩 모았다가 윤달을 끼워 넣어 햇수를 맞춰 나갔다. 그렇지만 이슬람에서는 그러한 것이 없다.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비상출판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75쪽에 ‘이슬람의 천문학자들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슬람의 연금술사들은 염색과 방수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도 발명하였어요’라고 하지만, 이보다 앞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증명됐고 연금술, 염색, 방수도 이전부터 활용됐다. 또 이슬람 제국 곳곳에 병원을 세웠다고 하지만, 주후 3세기 페르시아에서도 병원의 존재가 확인된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75쪽에 ‘이슬람의 천문학자들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이슬람은 무함마드가 주후 622년에 만든 종교였지만,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기원전 330년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최초로 증명했다(위키백과). 꾸란에는 지구가 양탄자처럼 평평한데 이들이 요동치 않도록 산들을 만들어 눌러 놓았다고 가르친다(꾸란 15:19).

75쪽에 연금술(Alchemy)을 마치 이슬람에서 발전시킨 것처럼 주장하고 있는데, 연금술을 검색해 보면 기원전에 그리스, 이집트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미 주후 1세기에 이에 대한 4권의 책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이것을 주후 7세기에 시작된 이슬람이 이용한 것뿐인데 ‘이슬람의 연금술사들은 염색과 방수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도 발명하였어요’라는 말을 삽입하여 염색과 방수가 이슬람에서 발명한 것으로 잘못 생각하도록 하고 있다. 최초의 염색은 기원전부터 조지아에서 이뤄졌다고 하고, 수천 년 전부터 중국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이것을 왜 주후 7세기에 시작된 이슬람의 발명으로 미화하는지 모르겠다.

75쪽에 보면 이슬람 제국 곳곳에 병원을 세웠다고 하면서 여러 사진과 함께 가르친다. 그러나 병원제도는 이미 주전 4~5세기에 스리랑카에서 발견되었고, 주후 3세기에 페르시아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되는데 주후 8세기에 이슬람 제국 곳곳에 병원이 세워졌다는 것을 가르치는 이유가 무엇인가?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역사 1’ 64쪽에 6세기 후반부터 아라비아 서부에 있는 메카가 무역 중심지로 떠올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주후 900년까지는 아랍 지도나 비잔틴 지도, 혹은 무역 지도에서 메카라는 지명의 도시가 발견되지 않는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천재교육: 64쪽에 6세기 후반부터 아라비아 서부에 있는 메카가 무역 중심지로 떠올랐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주후 900년까지는 아랍 지도나 비잔틴 지도, 혹은 무역 지도에서 메카라는 지명의 도시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슬람 학자들은 무슬림들이 하루 다섯 번씩 하는 기도를 메카 방향으로 정한 것은 주후 624년부터라고 주장하는데, 그렇다면 이슬람 율법에 의해 그때부터 지은 모스크는 모두 메카 방향으로 지어졌어야 한다. 그러나 댄 깁슨(Dan Gibson)이라는 학자가 직접 중동을 방문하여 수백 개의 고대 모스크를 조사해 보니, 주후 706년까지 지어진 모든 모스크는 요르단의 페트라를 향하고 있다고 한다. 그 후 메카와 페트라가 혼용되었고, 주후 822년부터 모든 모스크가 메카 방향으로 건축되었다고 한다(The Sacred city(2016), Early Islamic Qiblas(2017), Independent Scholars Press, Dan Gibson). 메카가 이슬람 학자들의 주장처럼 고대 도시라고 한다면 최소한 사우디아라비아의 23개 박물관 중에 메카에서 발견된 고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는 곳이 한 곳이라도 있어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역사 1’ 65쪽에 ‘이슬람에서는 강제 개종을 금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슬람은 시작부터 칼로 강제 개종을 요구하였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65쪽에 정수일 씨의 책을 인용하면서 ‘이슬람에서는 강제 개종을 금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슬람은 시작부터 칼로 강제 개종을 요구하였다. 세계인권선언을 존중하는 현대에서도 이슬람 학자들은 이슬람 율법에 의하면 배교자들을 죽여야 한다는 것을 부인하지 못한다. 이는 개인의 종교 선택의 자유 및 양심의 자유를 금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천재교육 중학 교과서 ‘역사 1’ 71쪽에 ‘마드라사는 이슬람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라고 하지만, 초·중·고등학교까지를 ‘마드라사’라고 부르며 대학교는 ‘자미아’라고 부른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71쪽에 ‘학문의 중심지 마드라사’라는 제목으로 ‘마드라사는 이슬람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라고 기술한 것은 사실과 다르다. ‘마드라사’라는 단어는 ‘학교’라는 뜻의 보통명사로서 초·중·고등학교까지를 ‘마드라사’라고 부르며 대학교는 ‘자미아’라고 부른다. 파키스탄 같은 경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가난한 학생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며 꾸란과 원리주의 이슬람을 가르치는 마드라사가 많아져서 이슬람이 원리주의 쪽으로 편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곧 마드라사는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라고 볼 수 없다.

지학사 중학 교과서
▲지학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62쪽에 ‘이슬람 국가에 식품을 수출하려면 왜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할까?’라고 질문한다. 그러나 이슬람 종주국 사우디아라비아나 시아파 이슬람의 종주국인 이란은 지금까지 할랄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는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지학사: 62쪽에 ‘이슬람 국가에 식품을 수출하려면 왜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할까?’라는 내용의 만화를 두 개나 넣어서 알리고 있다. 할랄 인증은 꾸란에서 금하고 있는 행위다(꾸란 16:116). 할랄 인증 제도는 어떤 면에서는 이슬람 교리를 금전적 이득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정말 이슬람 율법에서 필요한 것이라면 이슬람의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나 시아파 이슬람의 종주국인 이란 같은 나라에서 1,400년 전부터 시작했어야 하는데 이들 나라는 지금까지도 할랄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는다.

이슬람 율법에 의하면 ‘취하지 않는 정도의 알코올이 식품에 섞인 것은 먹어도 된다’고 말한다. 이것을 인도네시아(MUI)에서는 알코올이 1%까지, 말레이시아(JAKIM)에서는 0.01%까지, 싱가포르(MUIS)에서는 0.5%까지 허용하는 등 각각 다른 규정을 만들고 할랄 인증서를 판매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슬람 국가와 식품 사업을 하려면 꼭 할랄 인증을 받아야 하는 것처럼 가르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본다. 이슬람협력기구(OIC)에 가입된 57개국 중 공식적으로 할랄 인증을 받았다는 증서가 있어야 수입 허가를 해주는 나라는 없다. 다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몇 나라가 몇 년 후부터 그렇게 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62쪽에 새로운 종교인 이슬람교가 610년에 성립된 것으로 가르치고 있는데, 610년은 무함마드가 처음 계시받았다고 주장한 해이고, 이슬람교는 622년에 성립되었다.

65쪽에 ‘피정복민은 이전의 페르시아나 비잔티움 제국이 거두던 세금보다 부담이 적어 오히려 이슬람 세력의 통치를 환영하기도 하였다’면서 평등을 강조하는 교리가 피정복민의 환영을 받아 자발적으로 개종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다는 대목은 사실과 다르다. 이슬람 교리에 의하면 무슬림 남자들끼리만 평등하다.

지학사 중학 교과서
▲지학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66쪽에 시아파와 수니파가 ‘오히려 상대방의 모스크에서 자유롭게 예배를 보고 결혼하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이질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대목은 사실과 다르다. 시아파가 강한 이란에서는 수니파에 모스크 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고, 몰래 예배하면 예배 처소를 파괴한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66쪽에 시아파와 수니파가 ‘오히려 상대방의 모스크에서 자유롭게 예배를 보고 결혼하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이질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대목은 사실과 다르다. 이란은 시아 이슬람교가 국교이다. 이란에는 수니 무슬림들도 5백만 명 이상 살고 있고, 테헤란에만 1백만 명이 살고 있는데, 이들에게는 모스크 건축 허가를 발급해 주지 않는다. 대도시에서 수니 무슬림들이 몰래 모여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적발되면 예배 처소가 파괴된다. 중동에서의 국가 간 분쟁은 대부분 시아파와 수니파의 갈등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슬람의 시아와 수니의 관계는 기독교의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의 관계와는 매우 다르다. 이것을 문제가 없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고 가르치는 것은 사실과 거리가 있으므로 시정해야 할 것이다.

지학사 중학 교과서
▲지학사 중학 교과서 ‘역사 1’ 68쪽에 ‘앗쌀라무 알라이쿰’(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인사는 비무슬림들에게는 사용하면 안 된다고 이슬람은 가르친다. ⓒ자료 제공=이만석 목사
68쪽에는 만화로 아랍어를 홍보하고 있다. 왼쪽 그림은 ‘앗쌀라무 알라이쿰’이라는 말을 TV 화면에 띄워 놓고, 오른쪽 그림은 아랍어에 대해 3억 명 이상이 모국어나 공용어로 사용하며, 국제연합의 공용어 중의 하나라고 홍보하고 있다.

원래 무슬림들은 ‘앗쌀라무 알라이쿰’(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이라는 인사를 비무슬림들에게는 사용하면 안 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즉 무슬림이 아니라면 평화를 기원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는 한국의 한남동 모스크에서 발간하는 ‘주간 무슬림’이라는 주간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주간무슬림 1222호, 2015년 3월 27일 자, 6쪽).

70쪽에 이슬람 문화는 영(0)을 포함한 아라비아 숫자를 완성했다고 하는데, 이는 이슬람이 아니라 인도에서 완성한 것이다.

미래의 대한민국을 책임져야 할 학생들에게 바른 가치관과 판단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교육만큼은 정직해야 하며, 사실과 다르게 가르치는 부분은 시정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등 교과서에 실린 종교 분야 기록 중 분량 면에서 지나치게 이슬람 편향적이었던 것이 2020년 발간된 교과서부터는 시정되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내용 면에서 본다면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이슬람을 사실과 다르게 미화시키고 있어 속히 바로잡아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끝>

이만석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이슬람대책위원장·무슬림선교훈련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