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타운을 조성하고 이슬람 금융을 유치해 경제적 파급 효과를 보려던 강원도가 지역 시민단체의 거센 항의에 부딪히면서 향후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2014년부터 18억 무슬림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강원도는 무슬림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17년까지 53억 원을 들여 할랄도축장, 할랄식당 및 무슬림 기도처를 조성할 예정이다. 또 2017년 3천 명 규모의 제13차 세계이슬람경제포럼(WIEF)을 평창에 유치했고, 올해 9월에는 동아시아 할랄콘퍼런스와 WIEF 여성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강릉에서 개최한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작년 11월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제11차 WIEF에 참석해 할랄 관광객 유치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17년 평창 WIFE 개최에 대한 협조와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특히 이 기간 세계 이슬람권 금융계 수장인 알리알마다니 세계이슬람개발은행 총재를 만나 강원도의 올림픽특구 개발에 대한 세계이슬람개발은행과 이슬람 금융계의 관심과 검토를 부탁했으며, 알리알마다니 총재로부터 직접투자나 지분투자 방식 등을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g1.jpg
강원도 할랄타운 조성 및 이슬람 금융 유입 저지 촉구 시민대회가 23일 강원도청 앞에서 열렸다.
사진=이지희 기자

그러나 경제논리를 앞세운 강원도의 적극적인 할랄정책과 무슬림 관광객 및 이슬람금융 투자 유치 정책에 대해 강원도 내에서는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무슬림 관광객 증가 및 이슬람 자본 유입으로 향후 이슬람 세력이 급속히 커질 경우 경제, 사회적 갈등과 테러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파리 연쇄 테러를 비롯해 IS, 알카에다 등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의해 전 세계에서 테러 위험이 증가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작년 12월 알카에다 계열인 ‘알 누스라’ 테러조직 관련자 3명이 강제출국 되는 등 테러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도 한몫했다. 이 같은 할랄 반대여론으로 앞서 대구시는 할랄사업 추진 계획을 5일만에 전격 취소하고 예산 16억 원을 정부에 반납하기까지 했다.

이 가운데 바른나라세우기국민운동, 이슬람대책범국민운동, 우리사랑문화연대를 비롯해 강원도 내 26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슬람대책강원도민운동(정형만 대표)은 23일 강원도청 앞에서 항의 시민대회 및 기자회견을 열고 “경제적인 논리만을 앞세운 채 이슬람 테러에 문을 열어주는 강원도의 할랄타운 조성 및 이슬람금융 투자 유치 계획을 전면 중단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g2.jpg
사진=이지희 기자
이들은 “많은 무슬림이 꾸란의 교리에 따라 폭력, 살인, 전쟁을 정당화하고(꾸 9:123 등), 중동국가에서 타종교인들은 엄청난 핍박 속에 노예처럼 차별대우를 받고 어린이들의 자살테러 동원, 여성인권 차별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슬람의 실상을 알렸다. 또 “한국 역시 이슬람테러조직에 연계된 외국인들이 추방당하는 등 이슬람 테러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며, 경제적 논리로만 접근할 경우 이면에 숨어있는 사회적 갈등, 종족간 투쟁, 배타적 폭력성 등이 오일머니와 함께 들어올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g3.jpg
사진=이지희 기자
할랄정책에 대해서는 “할랄식품도 청정음식이라기 보다는 알라에 대한 제사법에 의한 음식으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올림픽을 앞둔 할랄타운 조성이 특정종교에 대한 배려로 올림픽 정신을 훼손하고 불특정 다수의 지구촌 주민에게 폭력성의 위기와 함께 안전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후 각 단체 대표는 강원도 부지사 및 강원도의회 의장단을 면담하여 할랄타운 조성 및 이슬람 금융 유입 정책에 반대 의사를 강력히 전달했다. 또 150여 명의 집회 참석자는 강원도청 앞에서 로터리, 명동 입구를 지나 시청 앞 광장까지 거리행진을 하며 피켓 시위와 전단지를 나눠주며 시민의 연대를 호소했다.

이지희 기자 jowue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