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퓨 연구 센터(Pew Research Center)는 2,400개가 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인구 센서스와 통계를 조사하여 최근 기독교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 제공 = 뉴욕충신장로교회)
퓨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볼 때에 기독교는 지난 100년동안 진정한 의미의 세계적 종교로 발돋움하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볼 때에는 전통적인 기독교 지역에서는 기독교 인구가 하락한 반면, 개발 도상국가들에서는 빠른 성장을 보여주어 서구의 기독교 쇠퇴를 상쇄하였다"고 보고했다.
퓨 연구 센터는 "현재 세계 기독교 공동체의 규모는 21억 8천만 명으로 세계 최대의 종교로 올라와있다"고 했다. 이중에 25%는 유럽 대륙, 37%는 아메리카 대륙, 24%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츠라키 대륙, 13%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거주하는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를 담당한 해켓 연구원은 "세계 국가의 2/3에서 기독교인은 최대 종교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KriM(한국선교연구원) 관계자는 "기독교가 시작된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은 현재 기독교인 비율(4%)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조사된 반면 이웃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대륙은 지난 100년간 기독교인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대륙으로 기독교인 비율이 1910년 9%에서 2010년 63%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8천만 명의 기독교인이 있는 아프리카 최대의 기독교 국가 나이지리아에는 종교 개혁이 시작되었던 독일보다 더 많은 개신교 기독교인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퓨 연구센터는 이번 조사에서 중국 인구의 5%가 기독교인으로 추정했는데 이는 6천 7백만명에 이르는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정부의 종교 탄압 정책으로 그 실제 규모를 추정하기 어려운 가운데 조사된 수치임으로 실제 수치는 훨씬 웃돌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세계에서 기독교인이 가장 많은 10대 국가는 미국(2억4,678만), 브라질(1억7,577만), 멕시코(1억778만), 러시아(1억522만), 필리핀(8,679만), 나이지리아(8,051만), 중국(6,707만), 콩고민주공화국(6,315만), 독일(5,824만), 에티오피아(5,258만)로 조사되었다.
함께 볼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