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khan_1.jpg
한국의 종교인들은 북한 정권은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이하 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5월 12일부터 6월 3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종교인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종교인의 통일의식’을 주제로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전체 대상 종교인 중 불교가 43.3%(436명)으로 가장 많았고, 개신교가 36%(363명)으로 뒤를 이었다.

종교인들은 북한 정권 및 지도층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무려 93.8%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매우 부정적이라고 답한 종교인도 54.7%에 달했다. 반면,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58.4%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연구원 부원장 박문수 박사는 “종교인들은 북한 정권 및 지도부와 주민을 구분해서 평가하고 있다”며 “이 상반된 인식은 종교인들이 북한의 현실을 북한 지도부의 책임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이 두 가지 방식으로 전개될 때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또한 정부가 종교계의 통일 노력에 ‘인도적 남북 교류 허용 및 편의 제공’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답한 종교인들(38.5%)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통일에 관련된 정확한 정보 제공’(30.9%)을 꼽았고, ‘종교계의 대북지원 허용’을 꼽은 종교인들(17.2%)도 있었다.

이와 관련, 박 박사는 “종교인들은 현재와 같은 남북교착상태에서도 종교의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정부와 종교의 역할이 다르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종교가 각자의 고유성을 존중하면서 통일준비를 위해 협력하는 것이 현 단계에서 가장 적절한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최근 논란이 된 바 있는 ‘통일세’와 관련한 조사 결과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종교인들은 통일세 징수의 필요성에 대해 56.1%가 불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다는 응답은 43.9%에 그쳤다. 더불어 만약 정부가 통일비용 조달 방법으로 통일세를 신설한다면 지불하겠다는 종교인들도 40.3% 뿐이었다. 나머지는 지불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세를 포함해 가장 적절한 통일비용 조달 방법을 묻는 질문엔 가장 많은 종교인들(55%)이 ‘국가 예산의 일정 부분을 적립한다’고 답했다. ‘국제금융기구 등에서 도움을 받는다’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모은다’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통일세를 내야 한다’는 종교인들은 9.9%에 그쳤다.

박 박사는 “통일비용과 같이 구체적인 준비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면모를 보이는 것”이라며 “특히 통일세의 경우 개인적으로 징수가 확정될 경우에만 비교적 높은 납부 의향을 보이고, 다른 가능한 수단들을 선택할 수 있을 때는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통일 준비를 필요하지만 개인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문제, 특히 경제적인 부담을 지는 문제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전체 68.8%의 종교인들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통일비용과 통일에서 얻는 이익 중 어느 것이 더 크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선 가장 많은 종교인들(56.4%)이 비용이 이익보다 더 클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사단법인 평화문화재단과 한국종교언론인협의회가 공동으로 11일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에서 개최한 ‘종교계 통일준비 공론화사업’ 세미나를 통해 발표됐다. 이 세미나는 통일에 관한 종교인들의 의식을 종교언론사들과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원 박 박사가 조사 결과를 발표했고 강남대 이찬수 교수가 ‘종교계 통일 인식과 운동, 그리고 연구의 흐름’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어진 토론 시간에는 최승천 국장(금강신문), 김종열 부장(크리스찬연합신문), 채일연 기자(원불교신문), 서상덕 국장(가톨릭신문)이 참여해 종교인들의 통일의식에 관해 토론했다.

출처: 크리스천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