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이 전하는 모세의 일생과 전기(傳記)를 들여다보면 그의 생애에 두 번의 커다란 전환점을 발견할 수 있다. 두 번의 커다란 전환점은 그 주기가 정확하게 40년이다. 두 번의 터닝포인트를 지날 때마다 모세의 삶은 완전히 달라졌다.

모세의 삶은 그리스도 삶의 모형이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와 속박으로부터 구원해 약속된 가나안 땅으로 인도하였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선지자였다. 모세는 그리스도께서 하신 것처럼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룬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투탕카멘의 죽음』(Mary Nell Wyatt, 리진만 역)에서 발췌한 아랫글에서 독자들은 40년 주기로 전혀 다른 모습과 환경 속에서 하나님의 구속사에 그리스도 삶의 전조(前兆)가 된 모세의 삶에 대해 놀라운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출애굽 진실에 관한 저자의 30여 년간의 끈질긴 탐구 결과물로, 지난해 12월, 발간 1개월 만에 2쇄를 발간할 만큼 한국 크리스천들에게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익히 영어 원서 『Battle for the Firstborn』은 ‘미국 아마존 화제의 도서’로 영어권 크리스천 독자들에게도 호평을 받아왔다. <편집자 주>

세넨무트 동상의 비문

베를린 박물관에 있는 세넨무트 동상의 비문에는 모세가 궁전에 살게 된 시기에 관한 모세연대표의 중요한 한 가지 특징을 확인시켜 주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있다.

“그가[왕] 나를 감독관의 우두머리와 일의 감독자로 삼으셨나이다. 나는 왕보다 먼저 계시던 분이 돌아가신 후부터 왕의 명령을 받아 이 땅에 있었고, 지금 나는 상하 이집트 왕(Ma'at-ka-Ra)인 두 땅의 여주인 아래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녀가 강하고 건강하게 살 수 있기를!”

나(저자)의 연대순 배열은 모세가 기원전 1514년에 “그 이전에 있었던 사람의 죽음이 일어난 이후로....”, 그리고 그의 양어머니인 마트카레(Maatkare)의 보살핌이나 섭정 아래 살고 있을 때만 모세가 궁전에 들어온 것을 보여 준다. 주목해야 할 중요한 비문의 또 다른 부분이 있다.

“승리한 센무트, 조상들의 기록에는 찾아볼 수 없네....”

젊은 히브리 남자는 왕가의 기록에는 어디에도 기록되지 않았지만 언젠가는 온 세상에 알려지게 될 것이다.

요세푸스는 모세가 이집트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고, 누비아인들이 공물로 바친 금으로 이집트의 부를 많이 축적시키고 누비아를 진정시킨 장군이었다고 썼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는 라모스와 하트노퍼의 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는 라모스와 하트노퍼의 관 ⓒMary Nell Lee
제세르 제세루에서 펀트 릴리프(Punt Relief)가 있는 벽은 (투트모세 I 세의) 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모세는 20세였을 것이다. 원정대는 악화한 무역 협력을 복원하기 위해 착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원정과 관련하여 세넨무트의 이름이 언급된다.

그것은 많은 양의 금과 다른 귀중품을 포함하여 돌아온 모든 놀라운 것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비문에는 마아트카레(핫셉수트)가 원정대에 참가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실제로는 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장면에서 핫셉수트는 왕좌에 앉아 있고 그녀 앞에는 세 명의 남자가 서 있다. 첫 번째 사람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보라, 그것은 다음과 같이 명령받았다: 그들은 푼트에 군대를 파견하기 위해 왕실 인장을 착용한 백작, 유일한 동료, 수석 재무, 네시에게 궁정의 강하고, 건강하게 살라는 기원을 담은 편지를 줄 것이다.”

중앙에 있는 남자 위에는 ‘아문의 청지기, 세넨무트’라고 쓰여 있다. 당시 20세였던 세넨무트는 승진하고 있었고, 이것이 마네토가 쓴 군사 원정이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증거는 다음과 같이 번역된 시카고 야외 박물관의 세넨무트 동상에 새겨진 비문에서 나왔다.

“나는 두 땅 여인의 기적에 접근할 수 있었던 그의 주인이 사랑하는 고관이었다. 그는 나를 위대하게 만들었고, 두 땅에서 나를 승진시켰다. 그는 나를 그 집의 감독자로 임명했다. 나는 왕의 장녀인 신의 아내 네페루라를 교육했다, 그녀가 잘 살기를! 나는 왕에 대한 나의 힘 때문에 그녀에게 여신들의 아버지가 되도록 주어졌다.” 「A Unique Statue of Senmut」, by T. G. Allen, in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44 (1927), p. 53

번역된 위의 비문은 말이 되지 않는다. 나는 이것이 어린아이를 안고 있는 사람의 조각상에서 네페루레와 세넨무트의 정체성 반전에 대해 앞서 논의한 것과 같은 또 다른 사례라고 제기한다. 두 가지 수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나는 세넨무트가 “왕의 장녀에 의해 교육받았고”, “여신의 아버지에 의해 그녀에게 주어졌다”고 말하고 있다고 굳게 믿는다.

핫셉수트는 모세를 입양하기 위해 그녀 아버지의 허락이 필요했고, 따라서 그는 “여신의 아버지에 의해 그녀에게 주어졌다”. 그의 양어머니 이후로 세넨무트는 모세이다. 미래의 왕으로서 필요로 할 지식의 모든 측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고의 이집트 교사들과 함께 교육을 주선할 것이다.

예상치 못한 발견

주황색이 핫셉수트
▲주황색이 핫셉수트 ⓒMary Nell Lee
나에게 매우 흥미진진한 발견 중 하나는 1990년대 어느 여름에 일어났다. 론과 나는 이집트 유물협회의 하싼 박사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영광을 누렸다. 몇 달 전 어느 날 론은 처음으로 그를 만나러 갔다. 그는 자신이 받은 환대에 상당히 놀랐다. 하싼 박사는 일어서서 그를 매우 따뜻하게 영접했다. 그는 론의 미국에 있는 아들의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에 미국인을 만나서 매우 기쁘다고 설명했다.

나는 그 여행 동안 이집트에 없었고, 론은 나에게 도와달라는 연락을 했다. 그 결과 하싼의 아들이 한동안 나와 함께 지내게 되었다. 멋진 19세 청년, 그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그의 상황을 도울 수 있어서 보람 있었다. 그 결과 그의 아버지는 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었다. 나는 그에게 무엇보다도 제세르 제세루와 세넨무트의 두 번째 묘지와 같은 특정 장소로 우리를 데려가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우리와 많은 시간을 보냈고, 더 이상 내가 보고 싶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나는 이미 이 장소에 가봤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볼 수 있는 추가적인 자유는 내 꿈을 초월했다. 가장 보고 싶었던 것은 이전 여행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제세르 제세루의 태양 제단이었다.

그러나 전체 여행을 잊을 수 없게 만든 것은 다른 것이었다. 태양 제단을 본 후, 나는 매우 어두운 지역으로 통하는 문으로 걸어 들어갔다. 하싼 박사는 해당 지역이 복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내가 둘러볼 수 있도록 허락했다.

세넨무트(모세)
▲세넨무트(모세) ⓒMary Nell Lee
이때는 디지털카메라 이전이었고, 카메라를 피사체 부분에 가까이 붙이고 플래시를 터뜨려 사진을 찍은 후 집에 돌아와 필름을 현상할 때까지 사진이 무엇을 드러낼지 전혀 몰랐다. 현상할 필름 롤을 모두 가져갔을 때 그것에 대해 많이 생각한 적이 없었다.

사진을 봤을 때, 우리가 너무 많은 곳을 다녔기 때문에 사진을 찍은 장소를 기억하는 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그러다 컴컴한 방이 생각나서 잠시 숨이 막혔다. 벽에는 몇몇 신들과 함께 행렬을 이루고 있는 어린 소녀가 있었고, 그녀의 뒤에는 매우 이상하게 생긴 여신이 어린 소년과 있었다. 나는 파라오의 딸과 그녀의 양자인 모세를 제외하고는 이것이 나타낼 수 있는 다른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다. 결국 이곳은 핫셉수트의 묘지 사원이었고 그녀의 삶에 바쳐졌다.

나는 이전에 내가 샅샅이 뒤진 모든 저널, 기사 및 책에서 이것을 본 적이 없다. 그러다가 이 책을 쓰면서 분명히 수년 전에 사원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만들어졌을 장면의 그림을 발견했다.

사진에는 ‘아메노피스와 다양한 여신의 성소’라는 파일명 외에는 정보가 없었다. ‘Amenophis’는 아멘호테프의 옛 철자이다. 핫셉수트의 묘지 사원에 있는 이 이름은 그녀의 아버지도 투트모세 외에 ‘아멘호테프’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나는 그것이 그가 궁전에 왔을 때 그의 나이였기 때문에 아마도 12살의 세넨무트와 함께 젊은 네페루레를 묘사하고 있다고 굳게 믿는다. <계속>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투탕카멘의 죽음
▲저자 메리 와이엇
※이 글은 『이스라엘의 출애굽과 투탕카멘의 죽음』에서 발췌해 소개합니다.

글: 메리 넬 와이엇(Mary Nell Wyatt·사진) 번역: 리진만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