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도에 대한 공통적인 현상을 살핀 후, 전도의 동기나 전도의 효율성, 전도의 대상 등을 중심으로 소리 내어 읽기가 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전도의 경험은 일반 읽기의 경우(85%)나 소리 내어 읽기를 하기 전(77%)이나 모두 거의 다 있었으며, 전도하게 된 경위도 소리 내어 읽은 후에는 ‘하나님의 명령’(41%)보다는 ‘스스로 하고 싶어서’(55%)라는 항목이 좀 더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것은 의무적 전도에서 자발적인 전도로 전도의 마음가짐이 조금 변한 것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 내어 읽기의 경우 ‘전도의 열의가 소리 내어 읽기 전과 비교해서 어떻습니까?’라는 질문에는 ‘더 열심이다’가 70%, ‘마찬가지다’가 18%로 나타났습니다. ‘전도의 효율성을 따진다면 소리 내어 읽기 전에 비해 어떻습니까?’라는 질문에는 ‘더 효과적이다’가 78%, ‘마찬가지다’ 가 11%였습니다. 이것은 소리 내어 읽기를 하는 성도들이 스스로 느끼는 것입니다.
![]() |
처음 <도표>는 주된 전도의 대상, 두 번째 <도표>는 전도한 상대방이 주님을 영접한 경우에 대한 설문 결과입니다.
![]() |
1)설교와 예배시간
일반 읽기와 소리 내어 읽기의 차이점 중 하나는 설교 시간입니다. 위 <도표>는 출석 교회의 주일 낮 예배 설교 시간, 다음 <도표>는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주일 낮 예배 설교 시간에 대한 설문 결과입니다.
![]() |
2)찬양
일반적으로 찬양이 예배와 믿음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소리 내어 읽기가 실제로 찬양에 미친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반 읽기(94%)나 소리 내어 읽기(95%)나 모두 찬양이 개인의 믿음 성장(영성)과 예배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소리 내어 읽기의 경우 ‘찬양을 하는 자세’는 소리 내어 읽기 전에 비해서 ‘더 열정적이다’가 71%, ‘별 차이 없다’가 20%로 응답했습니다. ‘성도의 개인 찬양시간은 소리 내어 읽기 전과 비교해서 어떻게 되었습니까?’(예배 시 찬양도 포함)라는 질문에 대해 ‘많이 늘었다’가 57%, ‘조금 늘었다’가 18%로 응답하여 소리 내어 읽기가 어떤 형태로든 좀 더 많은 찬양을 좀 더 열정적으로 할 수 있게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6.기타 항목
![]() |
성도들의 바람직한 목회상, 소리 내어 읽기와 목회자상, 목회자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위 <도표>는 바람직한 목회자의 판단기준에 대한 설문 결과입니다.
성도들의 ‘바람직한 목회자의 판단기준’은 일반 읽기나 소리 내어 읽기의 경우나, 크게는 ‘좋은 설교’와 ‘성품’ ‘좋은 성도와의 관계’로 압축되었습니다.
![]() |
섬기는 교회에 대한 애착(중요도)을 묻는 질문에 일반 읽기(68%)나 소리 내어 읽기(79%)나 모두 애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니시는 교회를 옮기시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셨습니까?’라는 질문에는 일반 읽기는 56%가 ‘있다’, 44%가 ‘없다’고 했고, 소리 내어 읽기의 경우는 ‘있다’가 44%, ‘없다’가 56%였습니다. 위 <도표>는 교회를 옮기려고 생각한 적이 있다면, 그 이유에 관한 설문 결과입니다. <계속>
이태재 목사(개혁총회신학 학장, 소리내어성경읽기연구소 소장, 말씀세움교회 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