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기독교 박해의 온상이 될 정도로 모질게 교회를 핍박하지만 현지 교회는 굴하지 않고 성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침례 받는 성도. ⓒ한국 순교자의 소리
한국 순교자의 소리(VOM, Voice of the Martyrs)가 2020년 베트남 기독교 지도자들을 위한 훈련을 진행한다.

지난 11월 말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발표한 동남아 경제계획과 같은 명칭인 '남방 정책'(Southern Plan)으로 이름 붙인 이 사역은 한국과 동남아 국가가 경제적으로 더 긴밀해지고 가까워지는 만큼, 두 지역의 기독교인 관계도 더 깊어져야 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현숙 폴리(Hyun Sook Foley) 한국 VOM 대표는 "동남아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기독교 박해가 줄어들기는커녕 더 늘어났다"며 "기독교 박해 정책을 펴는 정부가 경제적으로 더 강해지면 기독교인들은 더 고통받을 것"이라며 사역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이는 한국교회가 동남아 복음화를 위해 선교사를 보내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이상의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그리스도를 위해 고난받는 법을 동남아시아 기독교인이 배울 수 있도록 한국교회가 도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기독교 박해국가 순위(World Watch List)를 매년 발표하는 오픈도어선교회는 2019년 아시아를 '기독교 박해의 새로운 온상'으로 지목했다.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같은 동남아 국가는 세계에서 기독교를 가장 모질게 핍박하는 상위 20개 국가에 꼽혔다. 특히 베트남은 2018년 종교와 신념에 관한 법(Law on Belief and Religion)을 시행하면서 조직적, 대대적, 지속적으로 종교 자유를 침해해 왔고, 미국국제종교자유위원회(U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는 2019년 보고서에서 국제종교자유법에 따라 베트남을 '특별 우려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베트남 교회들도 박해 규모가 커지면서 그 양성도 바뀌고 있다고 전해왔다. 폴리 대표는 "한국 VOM과 협력하는 베트남 기독교인들은 이전에 베트남에서는 신앙을 지키는 기독교인을 억압하기 위해 주로 감옥에 가뒀는데, 이제는 직장을 잃을 것이라고 위협하거나 폭력배를 사서 공격하고, 토지를 몰수하거나 집을 파괴하거나 마을에서 추방하는 식으로 새 신자를 압박해 신앙을 버리게 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고 말한다"며 "이는 여러 가지 면에서 기독교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박해이며, 그래서 박해 대처 훈련이 정말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 VOM은 2020년 1분기에 진행하는 베트남 목회자 훈련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한다. 세미나 강사는 핍박당한 경험이 있는 베트남 교회 지도자들이다. 폴리 대표는 "한국 선교사들이 베트남 지도자들을 훈련할 수도 있지만, '저들이 땅을 앗아가면 어떻게 하나' '저들이 집을 파괴하면 어떻게 하나' '내가 살던 마을에서 쫓겨나면 어떻게 하나'와 같은 질문에 대답할 때 개인적으로 핍박을 경험한 현지 지도자의 말이 한국 선교사들의 말보다 더 권위와 신빙성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교회 목회자 훈련 사역을 물질로 후원하려면 VOM 웹사이트(https://vomkorea.com/donation)나 후원계좌(국민은행 463501-01-243303 (사)순교자의소리, 본인 성명과 '베트남' 기입)를 이용하면 된다.

이지희 기자 jsowue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