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창조과학회,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행사에서 한윤봉 한국창조과학회 회장은 "첨단과학 시대 살고 있는 사람들의 우상은 바로 '진화론은 과학이다'라는 믿음이고, 이 시대의 지적 교만은 창세기 내용을 진화론에 꿰어 맞추려는 다양한 시도"라며 "이러한 믿음 때문에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은 믿지 않게 되고, 성경을 진화론에 꿰어 맞추는 끊임없는 노력으로 다양한 타협이론들이 잉태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한국교회에서 타협이론 때문에 성경 권위와 무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심한 도전과 공격을 받고 있다"며 "이 시대 필요한 것은 지식, 학문, 경험을 바탕으로 성경을 해석하는 지적 교만이 아닌, 지적 회개와 지적 겸손"임을 강조했다.
이날 '창조신앙의 신학적 중요성'에 대해 특별 강의를 전한 김영한 기독교학술원 원장(샬롬나비 대표)은 유신론적 진화론이나 점진적 창조론, 다중격변론은 성경을 진화론에 개방하고 해석하는 타협이론으로서, 성경과 기독교를 붕괴시키고 교회와 복음을 혼란케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우리는 진화론의 근거인 자연주의 세계관, 창조과정을 진화과정으로 여기고 하나님의 능력을 진화 과정 속으로 제한하며 자연과정을 우선하는 유신론적 진화론,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을 옹호하고 단 한 번의 대홍수설을 비판하며 지질계통표의 진화 순서대로 하나님이 창조했다는 점진적 창조론을 거부한다"며 "창조과학자들이 '성경적 창조신앙'이 오늘날 최첨단 과학의 시대에도 적합하다는 자연과학적 논증을 수행하고, 젊은 지구론, 전지구적 격변론에 관해 상대방을 압도하는 과학적 증거와 학문적 견해를 제시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 |
이외 박명룡 청주서문교회 목사는 '창조주가 왜 기독교의 하나님인가?', 김경태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뇌의 이해와 영적 반응', 최윤식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진화론적 정보 생성이 가능한가', 김치원 창조반석교회 목사는 '창조신앙 회복을 통한 한국교회의 부흥', 문애란 G&M글로벌문화재단 대표는 '창조주를 잘 아는 최고의 방법', 권영현 한양대 응용물리학과 교수는 '물리학자가 본 우주 창조의 비밀' 등을 발제했다.
![]() |
권영현 교수는 "모든 정보는 양자역학적 정보로 표현된다는 가정, 우주 내의 모든 것이 하나님과 얽혀있는(entangled) 상태로 존재하며, 이 얽혀있는 상태는 얽힘을 풀기 매우 어렵다고 가정한다면, 우주 내 어떤 것이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그 정보를 하나님께 전달할 물리적 방법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일 A가 하나님과 얽혀있는 양자상태를 표시하면, 이를 측정한 결과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 없이 A가 선택한 내용의 결과가 하나님께 알려지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 과정은 반드시 고전적 통신이 필요한 양자원격전송 과정과 다르며, 얽힘 상태를 공유할 경우엔 A 자신의 계에서는 모든 것이 무작위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얽힘 상태는 현재 물리학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는 것 중 하나로, 양자 얽힘이 실재하는 것이 알려진 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며 "우리의 지혜가 늘어가면 갈수록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이해가 커질 것"이라고 기대를 전했다.
한편, 이날 김치원 목사는 "적어도 기원 문제에서 창조, 진화의 문제는 영적 문제로서, 진화론은 복음 전파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며 "한국교회에서 시급히 창조과학을 교육하고 신학대에서도 창조과학 과목을 커리큘럼에 넣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창조과학회는 무신론적 세계관에 입각한 진화론을 과학적 자료로 비판하고, 성경에 기초한 창조 내용 및 질서에 관한 과학적 증거를 드러내 '창조주 하나님'을 인정하고 경외할 수 있도록 1981년 창립된 초교파 기독학술단체다.
이지희 기자 jsowue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