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기 한국 기독교인들의 깊은 신앙 고백과 정신, 헌신적 삶이 더 이상 박물관이나 추모관에서가 아니라, 그들이 생전 남긴 설교와 강연, 글 등을 통해 언제든 우리에게 살아있는 말씀으로 들려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선교단체가 있다.
한국 순교자의 소리는 5일 초기 한국 기독교 지도자 중 한 명인 김교신 선생이 소유했던 땅에 지어진 집을 리모델링 해 ‘김교신홈’(정릉로 17길 15)으로 특별 개관했다. 약 27평 대지에 세워진 약 13평 규모의 건물의 외관은 여느 평범한 가정집과 다름없지만, 내부는 한국 순교자 및 초기 한국 기독교인들의 글을 출판하는 인쇄실과 AM, 단파, 위성 방송을 위한 라디오 스튜디오, 자료실까지 갖췄다.

13평 규모의 건물 안에는 인쇄실과 라디오 스튜디오 등 사역 공간이 마련됐다. ⓒ한국 순교자의 소리
개관식에는 김교신 선생의 자녀 2남 6녀 중 넷째 딸인 김정옥 여사가 참여했으며, 최근 은퇴한 미국 순교자의 소리 대표 짐 다우(Jim Dau), 패기 다우(Peggy Dau) 부부도 함께했다. 한국 순교자의 소리 CEO 에릭 폴리 목사는 “작년 50주년을 맞이한 순교자의 소리는 전 세계 핍박받는 나라의 기독교인들의 목소리가 살아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북한, 중국 등 70여 개 국가에서 핍박받는 기독교인들의 목소리와 함께 김교신·이성봉·한상동·주기철·길선주·존 로스 등 초기 한국 신앙인들과 선교사들의 목소리를 한국교회에 살아있는 목소리로 전해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교신 선생의 넷째 딸 김정옥 여사는 “(김교신홈 개관을 통해) 초기 한국 기독교의 영성이 온 만방에 퍼져
하나님이 이루시고자 하는 일들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지희 기자

이날 개관한 김교신홈 앞에서는 신앙 때문에 즉각적인 죽음을 당하는 순교자(빨강), 자기 자신의 꿈과 계획,
목적에 대해 죽는 순교자(초록), 세상에 대해 죽는 순교자(흰색)를 의미하는 세 가지 색으로 준비한 리본
커팅식이 열렸다. (왼쪽부터 차례대로) 패기 다우 사모, 에릭 폴리 한국 순교자의 소리 CEO, 김정옥 여사, 현숙 폴리 한국 순교자의 소리 대표, 짐 다우 미국 순교자의 소리 직전대표. ⓒ이지희 기자
이지희 기자 jsowuen@gmail.com
함께 볼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