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교사나 기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나서야 하며, 마땅한 자발적 참여수업 프로그램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고 자칫 사교육 시장만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정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공교육의 대안으로 등장한 대안학교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국내 대안학교 500여 개 중 허가받은 학교는 5%가 안 되며, 대부분은 커리큘럼, 교육비 등에서 법의 간섭과 침해를 피하고자 자발적 미인가 대안학교로 남아 있다. 특히 현재 대안학교법으로는 교회가 원하는 신앙교육과 지성교육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덴마크의 자유학교. 사진제공=자유학교법 입법청원 국민운동본부
그래서 최근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자유학교다. 지난 4월 한국교회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발족한 ‘자유학교법 입법청원 국민운동본부’ 김재헌 본부장은 “대안학교는 현행 학교에서 부적응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자유학교는 그것을 뛰어넘어 국가 주도의 교육 형태를 민간이나 개인, 단체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한국교회가 주일학교도 부흥시켜야 하지만, ‘선데이(Sunday)’ 스쿨뿐 아니라 사실 ‘에브리데이(Everyday)’ 스쿨을 세워야 진정한 기독교 가치를 가진 미래 세대를 양성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의 의무는 있지만 취학의 의무 없는 교육 강국 ‘덴마크’

우리나라에서 올해 전국 중학교에 도입되는 자유학기제는 아일랜드, 덴마크 등이 모델이 됐다. 덴마크에서는 초중학교 졸업생이 1년간 선택적으로 자유학교에 진학할 수 있게 한 자유학기제(애프터스쿨제)를 운영한다.
이처럼 교육 선진국에서는 국가 행정당국의 간섭은 최소화하고 삶을 가르치는 교육, 내재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학교설립의 자유, 또 학교선택의 자유, 진로선택의 자유를 보장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현행 교육법 상 학교 밖 모든 교육은 교육법 위반, 대안학교법 위반, 학원법 위반으로 처벌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자유학교법 입법청원 운동 본격 시작

자유학교법 입법청원 국민운동본부는 자유학교법이 통과되면 중형교회 이상 교회가 학교를 세울 때 국가로부터 지원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년에 자퇴생이 7만여 명, 현재 공교육 밖의 학생이 35만 명이라면 교육부 1년 예산 중 일부는 이들 개인이 자유학교, 대안학교, 직업훈련학원 등에서 교육받기 원할 시 바우처 형태로 교육기관에 지급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계속)
이지희 기자 jsowuen@gmail.com
함께 볼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