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네팔이 종교의 자유를 선포한 지 4년이 지난 지금, 네팔이 다시 힌두 왕국으로 되돌아갈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2006년까지 네팔에서 그리스도를 전도하는 것은 처벌받아야 할 행위였고, 많은 교회들이 폐쇄당하지 않기 위해 비밀리에 모였다. 그러나 한때 힌두 신으로 여겨지다 폐위된 전 국왕 갸넨드라(Gyanendra Shah) 가 국왕제가 폐지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침묵을 깨고 입을 열자,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는 힌두교 축제를 방문한 자리에서 "국왕제는 죽은 것이 아니며 국민이 원하면 다시 되돌아올 수 있다"고 말했다. 그 발언 후, 전 수상이자 최대 여당 지도자인 크리슈나 프라사드 바타라이는 "네팔이 새 헌법을 갖는 대신 예전 헌법을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0년 헌법에 의하면 네팔은 입헌군주제 힌두왕국이라고 선언되어 있다.
이제 현 여당이 5월까지 약속한 헌법 개정을 할 능력이 없지 않느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네팔 교회 연합 총무 로카야(K.B.Rokaya) 박사는 "우리는 배신감을 느낍니다"라고 말하고, "헌법위원회는 민주주의와 종교의 자유를 강화하는 새 헌법을 만들기 위해 선출되었다"며 "그런데 시간과 기회를 낭비해버리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새 헌법을 위한 기한인 5월 28일이 가까이오자 한때의 힌두교 국가인 네팔이 술렁이고 있다. 힌두교 성직자 칼리다스 달(Kalidas Dahal)은 3월에 카트만두에서 9일 기도 의식을 열어 힌두교가 다시 국교가 되기를 기원하는 행사를 열었고 거기에 수천 명이 모였다. 그 행사에는 3명의 전직 수상과 여당 지도자들도 참석했다.
이 소식을 전한 오픈도어는 "네팔이 다시 힌두 왕국으로 돌아가는 일이 없도록, 네팔 기독교인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하고, "5월까지 예정된 헌법개정에서 종교의 자유가 유지되도록 기도해 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