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이슬람혁명기념일인 지난 2월 11일 이란이슬람공화국 대사관 인근에서 재한 이란인들이 시위하고 있다.
▲이란의 이슬람혁명기념일인 지난 2월 11일 이란이슬람공화국 대사관 인근에서 재한 이란인들이 시위하고 있다. ⓒ이만석 목사
◇교회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1월 5일, 크리스천포스트(ChristianPost)와 인터뷰에서 미국 베일러대학교 종교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존슨(Byron Johnson) 박사는 교회의 역할이 사회에서 중요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 역할을 감당해 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 기독교인들이 자선 단체에 하루에 10억 달러 이상을 기부한다고 말했고, 교회의 기부금은 해마다 약 1조 2천억 달러에 이른다고 했다. 그뿐 아니라 존슨 박사는 교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리학적, 사회학적 연구 자료도 제시했다. 옥스퍼드대학 출판부에서 개인의 건강과 교회 출석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자료에 따르면,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예배에 참석한 사람은 사망 위험이 26%가 낮았다고 한다. 음주와 흡연을 피하는 사람의 사망률이 34%, 29%로 낮아진 것과 비교해도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또한 신체적 질병뿐 아니라 우울, 불안, 절망, 외로움 등이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사람들에게서 더 낮았고, 삶에 대한 만족도나 목적의식은 더 높이 나타났다고 했다. 존슨 박사는 연구 동료였던 스타크(Rodney Stark) 박사의 말을 빌려 비종교인에 비해 기독교인의 범죄 억제력도 훨씬 더 높았다고도 말했다. 세속화 시대에 교회가 사회의 전 영역에서 선한 영향력을 발휘해 가고,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복음의 정신을 이웃과 약자들에게 나눌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christianpost.com)

◇아르헨티나, 도시 이주민들의 슬럼화 환경 개선 추진

유엔과 미주개발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국가에서 국민의 약 80%가 도시에 거주하는데 그중에서 20.8%가 슬럼가 빈민들로 조사되었다. 도시에 42%의 인구가 거주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슬럼가 비율은 55.2%로 가장 높았고, 도시 인구가 38%에 달하는 남아시아 국가들의 빈민 비율은 30.6%로 조사되었다. 도시 이주민들의 슬럼화 환경 개선을 위해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시 정부는 2016년부터 세계은행과 미주개발은행의 자금으로 도로 포장, 토지 소유권 지정, 하수관 및 전기 케이블 설치에 3억 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슬럼가에는 아스팔트 도로가 하나뿐이었지만 이제는 모든 거리가 포장되었고, 2016년에는 없었던 공립학교가 3개나 세워졌으며, 2019년부터는 버스가 다니고 은행도 문을 열었다. 2009년 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장은 정치 진영을 달리했지만 빈민가를 통합하려는 정책은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다. 2015년 마크리(Mauricio Macri) 대통령이 취임하고 2017년에는 빈민가를 식별하기 위한 국가등록부가 만들어졌고, 판자촌을 개선하는 것을 국가발전 우선순위에 포함시켰다. 칠레나 브라질에서 빈민가 통합 정책이 부작용을 드러낸 것과 달리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는 범죄율이 줄어들었고 열악했던 하수 시설도 놀랍게 개선되었으며, 시 정부는 계속해서 빈민들을 수용할 주택을 마련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를 비롯해 전 세계에 걸쳐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고 있는 도시 빈민자들이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을 통해 더 윤택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economist.com)

◇미국, 작년 미국인의 1/3이 교회 예배에 참석한 적 없어

1월 5일 미국기업연구소(AEI)와 시카고대학의 NORC 연구센터가 10대에서 60대에 이르는 9,4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인의 교회 예배 참여가 더욱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2022년 2~4월 기준) 미국인의 33%가 종교적 예배에 한 번도 출석하지 않았는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2018~2020년 기준)에 예배 미참석자의 비율이었던 25%에서 8% 이상이 증가한 수치이다. 팬데믹 이전에 미국인의 75%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이상 종교 행사에 참석했고, 그중 약 26%는 정기적으로(적어도 한 달에 2~3번) 참석했었다. 그렇지만 지난해에는 1년에 한 번 이상 종교 행사에 참석한 수치가 67%로 떨어졌고, 정기적으로 참석한 수치도 24%에 그쳤다. 교회 예배에 참석하지 않은 비율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18~29세의 청년층에서 30%에서 44%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65세 이상에서는 20%에서 23%로 소폭 증가했을 뿐이다. 교회 출석이 이전보다 많이 줄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18~29세는 30%, 30~49세 24%, 50~64세 19%, 65세 이상은 16%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반대로 교회 출석이 늘었다는 응답은 18~29세에서는 12%, 30~49세 11%, 50~64세 9%, 65세 이상에서는 9%로 조사되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줄어든 예배 참여가 다시 온전하게 회복되고, 교회 공동체 안에서 누리는 화목과 화평이 가정과 이웃과 사회로 전파되어 나갈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baptistnews.com, www.aei.org)

아프가니스탄 아이들
▲아프가니스탄 아이들 ⓒpxhere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난민 605명 추방

새해가 시작되고 첫 주간, 600명 이상의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파키스탄에서 추방되었고, 앞으로도 수백 명이 더 추방될 위기에 처했다. 1월 7일, 파키스탄 신드주(州)에서 302명이 1차로 송환되었고, 1월 9일에도 여성 63명과 어린이 71명을 포함해 303명이 아프간으로 송환되었다. 2021년 8월 탈레반이 권력을 장악한 이후 약 25만 명의 아프간인들이 파키스탄에 도착했다. 작년 여름, 파키스탄 당국은 불법 입국한 아프간인들을 추방하기 시작했고, 10월 이후에는 체포와 구금도 증가했다. 129명의 여성과 178명의 어린이를 포함해 약 1,400명의 아프간인들이 파키스탄에서 체포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카라치에 본부를 둔 인권 변호사인 카카르(Moniza Kakar)는 체포된 아프간인 중 400명 정도는 여권과 거주 증명이 유효한 비자를 소지하고 있었지만 체포되기 전 경찰에 모두 압수되었다고 했다. 또 다른 인권 변호사 길라니(Umer Gilani)는 아프간 망명 신청자들을 박해받을 수 있는 곳으로 강제 송환하는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면서 파키스탄 정부의 국가인권위원회(NCHR)에 추방 중단을 촉구했다. 그렇지만 신드주 당국은 유효한 서류가 없는 불법 이민자에 대해서만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할 뿐이었다. 카라치에 등록된 망명 신청자 아미리(Nida Amiri) 씨는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단속 이후 불안한 생활을 하고 있고, 숨도 쉴 수 없는 카불로 돌아가느니 차라리 감옥에서 죽겠다고 말했다. 탈레반 정권하에서 불안한 지위에 놓인 아프간 난민들에 대해 전 세계가 이들의 정착과 보호를 위해 협력해 나가고,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와 경제 상황이 앞으로 더욱 안정될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theguardian.com)

◇일본, 도시 외곽으로 이주하는 정착지원금 인상 예고

일본 정부는 시골과 중소도시의 인구 감소를 역전시키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수도권을 벗어나 이사하는 가정에게 자녀 1인당 100만 엔(약 7,500달러)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쇠퇴하는 도시와 마을을 다시 살리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가 4월 이후에 추가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라고 한다. 작년에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도쿄의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했지만 시 당국은 점점 높아져 가는 도시의 인구 밀도를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정착지원금과 자녀양육비 등의 지원으로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가정이 중소도시를 활성화하고, 4,400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의 공간과 공공 서비스에 대한 압박을 완화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3년 전부터 시작된 이주 계획은 2019년에 71개, 2020년에 290개, 2021년에는 1,184개 가족에게 지원이 이루어졌고, 도쿄시는 2027년까지 1만 가족 이상이 도쿄에서 농촌으로 이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대도시 인구 밀집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려는 일본 정부의 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일본 선교가 이러한 추세를 잘 파악하여 효과적인 선교 방법을 마련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theguardian.com)

◇인도, 5개 주에서 개종금지법으로 박해당하는 기독교인들

최근 발표된 미국의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 인도의 기독교인들은 감시와 괴롭힘, 건물 철거, 구금, 폭력, 심지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박해에 시달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나 인도 중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개종금지법과 관련하여 사건사고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 주는 작년 2월에 개종금지법이 통과되었고, 힌두민족주의를 주창하는 인도국민당(BJP)이 여러 수단을 동원해 개종을 범죄화하고 있다. 개종금지법이 오래전부터 시행되고 있었던 마디아프라데시(Madhya Pradesh) 주에서는 최근 이 법을 악용하여 교회뿐 아니라 교회가 운영하는 고아원, 복지시설까지 지역 경찰이 기습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차티스가르(Chhattisgarh) 주에서는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1월 2일에 천여 명의 힌두교인이 몰려와 나라얀푸르(Narayanpur) 가톨릭교회를 공격했다. 인도 북부의 하리아나(Haryana) 주에서 택시 운전사로 일하던 기독교 목사는 전날 밤 택시에서 승객과 나눈 대화가 문제가 되어 그다음 날 시크교도들에게 붙잡혀 상해를 입고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기독교 인구가 1.5%밖에 안 되는 펀자브(Punjab) 주에서도 과격한 힌두교도들과 시크교도들은 소수의 기독교인들을 미신적이라고 주장하면서 핍박을 가한다. 작년 8월에 타른 타란(Tarn Taran) 지역의 한 교회는 복면강도의 침입을 받고 기물이 파괴되었고, 자동차가 불타고 경비원이 다치기도 했다. 인도 기독교인들과 교회들이 개종금지법의 악용으로 억울하게 처벌받거나 피해를 입지 않도록, 극심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의 사랑과 긍휼의 마음을 끝까지 잃지 않도록 기도하자. (출처 globalchristianrelief.org)

◇이스라엘, 서안지구 정착촌 확장 정책으로 총격 충돌 계속돼

작년 12월 28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가 이끄는 이스라엘 새 정부는 서안지구(West Bank) 정착촌 확장을 최우선 순위 목록에 올려 불법으로 지어진 수십 개의 전초 기지를 합법화하고, 초국가적 동맹국과의 연합으로 점령지를 합병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스라엘은 서안지구에 수십 개의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했고, 현재 약 50만 명의 이스라엘인이 25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과 함께 살고 있다. 새 정부의 발표가 있은 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긴장이 고조되었고, 급기야 1월 26일과 27일 사이 총격 충돌이 발생했다. 26일에는 이스라엘군이 서안지구 북쪽에 위치한 난민 수용소 근처에서 이슬람 지하드 세력을 축출한다는 명목하에 팔레스타인인 9명을 죽였고 20여 명은 부상을 입었다. 다음날 27일에는 동예루살렘의 회당에서 나오던 이스라엘인 7명이 총에 맞아 사망했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날은 독일 나치 정권에 의해 희생당한 사람들을 추모하는 홀로코스트 기념일이었다. 2022년에 팔레스타인인은 150명, 이스라엘인은 30명이 목숨을 잃어 지난 10년 동안 가장 많은 수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스라엘 새 정부의 강경 정책으로 새해부터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무고한 희생이 발생하지 않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평화와 화해의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theguardian.com)

◇이란, 새해 들어 1월에만 55명 사형 집행

1월 27일,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이란휴먼라이츠(Iran Human Rights)는 2023년이 시작되고 1월에만 이란에서 55명이 처형당했다고 발표했다. IHR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시위 관련 혐의자 4명이 포함됐고, 마약 관련 범죄자는 3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최소 107명이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될 위기에 놓여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란의 사형 집행이 급증함에 따라 IHR은 이란에서 사형 집행은 정치적이고, 주요 목적은 사회적 공포를 조장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IHR의 아미리-모가담(Mahmood Amiri-Moghaddam) 국장은 이란에서 정치적 목적의 사형을 멈추기 위해 국제 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작년 9월, 이란에서 여성의 복장 규정을 둘러싸고 마흐사 아미니(Mahsa Amini)의 죽음 이후 시위를 진압하기 위한 위협 수단으로 사형이 이용될 소지가 충분하다고도 말했다. 볼커 투르크(Volker Turk) 유엔 인권 대표는 시위대를 처벌하기 위해 이란이 형사 절차를 무기화하고 있고, 이것은 국가가 승인한 살인에 해당한다고 비난했다. IHR에 따르면, 2022년 9월 이후 71명의 어린이를 포함해 최소 525명이 시위 도중 강경 진압으로 사망했고, 19,000명 이상이 국가 보안군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란에서 사형 집행은 2020년 267명, 2021년 333명, 2022년 최소 500명 이상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IHR은 밝혔다. 이란에서 인권과 자유를 향한 시위로 인해 더 이상 희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고하게 체포된 사람들이 하루속히 석방되고 정당한 재판 절차를 거쳐 형이 집행될 수 있도록 기도하자. (출처 www.arabnews.com, iranhumanrights.org)

한국선교연구원(KRI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Mission)